본문 바로가기
정보

🤯 매번 로그인 귀찮으셨죠? 윈도우 10 계정 비밀번호 삭제 완벽 가이드!

by 367jajsfjasf 2025. 11. 22.

🤯 매번 로그인 귀찮으셨죠? 윈도우 10 계정 비밀번호 삭제 완벽 가이드!

 

 

목차

  1. 계정 비밀번호 삭제의 필요성과 주의사항
  2. 방법 1: netplwiz를 이용한 자동 로그인 설정 (가장 일반적인 방법)
    • 2.1. netplwiz 실행
    • 2.2. 사용자 이름 및 비밀번호 입력
    • 2.3. 자동 로그인 해제 및 재설정
  3. 방법 2: Microsoft 계정에서 로컬 계정으로 전환하여 비밀번호 제거
    • 3.1. 계정 설정 접속 및 전환 준비
    • 3.2. 로컬 계정으로 전환 및 비밀번호 설정(제거)
  4. 방법 3: 로컬 계정의 비밀번호를 빈칸으로 변경
    • 4.1. 사용자 계정 관리자 접속 (lusrmgr.msc)
    • 4.2. 비밀번호 재설정을 통한 비밀번호 삭제
    • 4.3. 설정 앱을 통한 비밀번호 변경
  5. 비밀번호 삭제 후 보안 강화 방법

1. 계정 비밀번호 삭제의 필요성과 주의사항

윈도우 10을 사용할 때마다 계정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과정은 개인 사용자, 특히 외부 노출 위험이 적은 환경에서 PC를 사용하는 경우 번거로울 수 있습니다. 비밀번호를 삭제하거나 자동 로그인 설정을 해두면 부팅 후 바로 바탕화면으로 진입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.

⚠️ 주의사항: 비밀번호를 완전히 삭제하거나 자동 로그인을 설정하면, PC가 물리적으로 노출되었을 때 누구나 접근할 수 있게 됩니다. 따라서 공공장소나 직장 등 보안이 중요한 환경에서는 이 방법을 신중하게 고려해야 합니다. 비밀번호 삭제는 로컬 계정에서 주로 사용되며, Microsoft 계정은 보안상의 이유로 비밀번호를 완전히 비워둘 수는 없고, PIN이나 Windows Hello 등의 간편 로그인 옵션으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.

2. 방법 1: netplwiz를 이용한 자동 로그인 설정 (가장 일반적인 방법)

이 방법은 비밀번호를 유지하면서 로그인 과정만 생략하게 해주는 가장 일반적이고 권장되는 방법입니다.

2.1. netplwiz 실행

키보드의 Windows 키 + R 키를 동시에 눌러 실행 창을 엽니다. 실행 창에 netplwiz를 입력하고 확인을 클릭하거나 Enter 키를 누릅니다. 사용자 계정 창이 나타납니다.

2.2. 자동 로그인 해제 및 재설정

사용자 계정 창 상단에 있는 "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입력해야 이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음" 옵션의 체크를 해제합니다. 체크를 해제한 후 적용 버튼을 클릭하면, 자동 로그인 설정 창이 팝업됩니다. 이 창에 현재 사용 중인 계정의 암호를 두 번 정확하게 입력하고 확인을 누릅니다. 다음 번부터 PC를 켜면 비밀번호 입력 없이 자동으로 로그인됩니다.

2.3. 자동 로그인 해제 및 재설정

만약 이전에 이 설정을 해제했는데 다시 사용하고 싶다면, 다시 netplwiz를 실행하고 해당 옵션을 체크한 후 적용을 누르면 됩니다. 이때 자동으로 로그인되던 설정은 해제됩니다.

3. 방법 2: Microsoft 계정에서 로컬 계정으로 전환하여 비밀번호 제거

Microsoft 계정은 클라우드 서비스 연동 및 보안을 위해 비밀번호가 필수적입니다. 따라서 비밀번호를 완전히 제거하려면 로컬 계정으로 전환해야 합니다.

3.1. 계정 설정 접속 및 전환 준비

Windows 키 + I 키를 눌러 설정 앱을 실행합니다. 계정 > 사용자 정보 메뉴로 이동합니다. 현재 사용자의 계정 정보 아래에 있는 "대신 로컬 계정으로 로그인"을 클릭합니다.

3.2. 로컬 계정으로 전환 및 비밀번호 설정(제거)

로컬 계정으로 전환하기 위한 몇 가지 단계를 거치게 됩니다.

  1. 현재 Microsoft 계정 암호 확인: 보안을 위해 현재 사용 중인 Microsoft 계정의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본인임을 확인합니다.
  2. 로컬 계정 정보 입력: 새로 사용할 로컬 계정의 사용자 이름을 입력합니다. 암호, 암호 확인, 암호 힌트 입력란이 나타나는데, 이 세 칸을 모두 비워두고 (아무것도 입력하지 않고) 다음을 클릭합니다.
  3. 로그아웃 및 전환 완료: "로그아웃 및 마침" 버튼을 클릭하면 자동으로 로그아웃됩니다. 다시 로그인할 때는 비밀번호 입력 없이 바로 로컬 계정으로 접속됩니다.

4. 방법 3: 로컬 계정의 비밀번호를 빈칸으로 변경

이미 로컬 계정을 사용 중인 경우, 비밀번호를 '없음' 상태(빈칸)로 변경하여 삭제할 수 있습니다.

4.1. 사용자 계정 관리자 접속 (lusrmgr.msc)

Windows 10 Pro 버전 이상을 사용하는 경우, Windows 키 + R 키를 눌러 실행 창에 lusrmgr.msc를 입력하고 확인을 클릭합니다. 로컬 사용자 및 그룹 관리 창이 열리면, 왼쪽 창에서 사용자 폴더를 선택합니다.

4.2. 비밀번호 재설정을 통한 비밀번호 삭제

오른쪽 목록에서 비밀번호를 삭제하려는 사용자 이름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한 후, "암호 설정"을 선택합니다. 경고 메시지가 나타나면 "진행"을 클릭합니다. 새 암호 설정 창이 뜨면 "새 암호""암호 확인" 칸을 모두 비워둔 채 확인을 클릭합니다. 이렇게 하면 해당 로컬 계정의 비밀번호가 삭제되어 로그인 시 비밀번호 입력이 필요 없게 됩니다.

4.3. 설정 앱을 통한 비밀번호 변경 (Home/Pro 공통)

모든 윈도우 10 버전에서 사용 가능합니다.

  1. Windows 키 + I 키를 눌러 설정 앱을 실행합니다.
  2. 계정 > 로그인 옵션 > 비밀번호 메뉴로 이동합니다.
  3. 변경 버튼을 클릭합니다.
  4. 현재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본인임을 확인합니다.
  5. 새 암호, 암호 확인, 암호 힌트 입력란이 나타나면, 이 세 칸을 모두 비워둔 채 다음을 클릭하고 마침을 누릅니다. 로컬 계정의 비밀번호가 빈칸으로 설정되어 로그인 시 비밀번호 입력이 생략됩니다.

5. 비밀번호 삭제 후 보안 강화 방법

비밀번호를 삭제하여 편리함을 얻었더라도, 외부 접근에 대한 최소한의 방어책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.

  • 잠금 화면 시간 설정: PC를 잠시 사용하지 않을 때 자동으로 잠금 화면으로 돌아가도록 설정합니다. (설정 > 개인 설정 > 잠금 화면 > 화면 시간 제한 설정 또는 화면 보호기 설정을 활용)
  • Windows Hello(PIN, 지문 등) 사용: Microsoft 계정을 사용하는 경우 비밀번호 대신 PIN, 얼굴 인식(카메라 필요), 또는 지문 인식(센서 필요)을 설정하여 간편하면서도 높은 수준의 보안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. 설정 > 계정 > 로그인 옵션에서 설정 가능합니다. PIN은 4자리 숫자만으로 구성되지만, PC에만 저장되어 비밀번호보다 안전하다고 평가받습니다.

로컬 계정으로 전환하거나 비밀번호를 빈칸으로 설정하면 부팅 후 바로 윈도우로 진입할 수 있어 편리성이 극대화됩니다. 그러나 이 방법을 선택할 때는 반드시 개인 PC 사용 환경의 보안 수준을 고려해야 합니다. 특히 공용으로 사용하는 PC라면 비밀번호를 유지하거나 Windows Hello 옵션을 사용하는 것이 훨씬 안전합니다.

 

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참고 하세요~

 

더 자세한 자료 바로보기